로고

메타버스 어원 .개념 1992년 출간된 닐 스티븐슨의 SF 소설 '스노 크래시(Snow Crash)'에서 처음 등장

하늘대부 | 기사입력 2024/06/11 [09:26]

메타버스 어원 .개념 1992년 출간된 닐 스티븐슨의 SF 소설 '스노 크래시(Snow Crash)'에서 처음 등장

하늘대부 | 입력 : 2024/06/11 [09:26]

 

▲ https://www.ccb22.org/-문화창조기지 메타버스 갤러리   © 장애인인식개선신문

 

(서울=장애인인식개선신문) 메타버스(Metaverse)는 "초월"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meta"와 "세계" 또는 "우주"를 의미하는 "universe"의 합성어이다.

 

이 용어는 1992년 출간된 닐 스티븐슨의 SF 소설 '스노 크래시(Snow Crash)'에서 처음 등장했다. 소설에서 메타버스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가상 현실 공간으로, 현실 세계와는 독립된 별도의 세계로 구현되었다.

 

개념

메타버스는 단순한 게임이나 가상 현실 공간을 넘어 현실 세계와 밀접하게 연결되고 상호작용하는 3D 가상 세계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아바타라고 불리는 자신의 가상 자아를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활동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거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등 현실 세계와 연관되어 있다.

 

주요 특징

지속성: 메타버스는 로그아웃하지 않아도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존재하고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다. 몰입성: 최첨단 VR/AR 기술이 제공하는 몰입감은 현실 세계와 거의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생생하다. 사회성: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참여하고 상호작용하며 사회적 활동을 할 수 있다. 경제성: 가상 화폐를 이용한 경제 활동이 가능하며, 창의적인 활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개방성: 다양한 플랫폼과 서비스가 상호 연결되고 호환되는 개방된 시스템이다.

 

예시

게임: 포트나이트(Fortnite), 로블록스(Roblox)

소셜 미디어: VR챗(VRChat), 호라이즌 월즈(Horizon Worlds)

쇼핑: 네이버 제페토(ZEPETO), 아바타 스토어

교육: 파노라마 에듀(Panorama Edu), 클래스룸 VR(Classroom VR)

업무: VR 회의, 가상 오피스

박물관:전시회,갤러리.

메타버스는 단순히 기술적 진보를 넘어 사회, 경제, 문화 전반에 걸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현실과 가상을 넘나들며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상호작용하고 경험할 수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