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정부,6세대 (6G)이동통신 상용화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주행, 메타버스 등을 포함한 신규 서비스 개발

최봉혁기자 | 기사입력 2022/09/18 [21:23]
 6G 통신기술의 후보 대역인 테라헤르츠(THz)1)에서 
테라바이트(Tbps, Gbps의 1,000배 속도)급 전송속도를 확보한다

정부,6세대 (6G)이동통신 상용화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주행, 메타버스 등을 포함한 신규 서비스 개발

 6G 통신기술의 후보 대역인 테라헤르츠(THz)1)에서 
테라바이트(Tbps, Gbps의 1,000배 속도)급 전송속도를 확보한다

최봉혁기자 | 입력 : 2022/09/18 [21:23]
본문이미지

▲ 정부가 6세대(6G) 이동통신 상용화  ©



(장애인인식개선신문= 최봉혁 기자) 정부가 6세대(6G) 이동통신 상용화 대비를 골자로 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전략을 민관합동으로 상용화를 추진한다. 
 
국민 경제 기반인 네트워크의 혁신으로 글로벌 기술 패권을 주도하겠다는 의도다. 
 
6G네트워크의 지능화·융합화·공간확장을 위한 기술 전략과 함께 민관이 공조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상반기부터 차세대 네트워크 전략 수립을 위해 산·학·연의 의견을 모으고 관련 내용을 정리했다. 
 
차세대 네트워크 전략에는 Pre 6G 시연과 6G 조기 상용화를 위한 신규 기술 전략이 담길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7~24㎓에 해당하는 어퍼-미드밴드(Upper-midband)·92~300㎓에 해당하는 서브-테라헤르츠(Sub-㎔) 주파수를 구현하고, 커버리지를 확대하기 위한 AI(인공지능) 네이티브, 클라우드 네이티브, 가상화 등의 네트워크 접목 기술이 제시될 전망이다. 
 
이같은 기술은 6G 코어망의 인프라 확장성을 제고하고 유연성을 진화시킬 수 있다.
 
​6G 시대에는 지상을 넘어 공중까지 네트워크 환경이 확장된다. 
 
이 때문에 우주 네트워크 전략도 포함될 전망이다. 
 
과기정통부는 2026년부터 6G 저궤도 위성통신 시범망 구축을 추진한다. 
 
​이외에도 6G 핵심 기술로 꼽히는 오픈랜 등이 담긴다. 
과기정통부는 빠른 시일 내 오픈랜 초기 생태계 구축을 위한 '오픈랜 얼라이언스(협의체)'를 출범할 계획이다. 오픈랜 테스트베드를 활용해 5G 통신망 프런트홀에서의 장비간 상호호환성도 확보한다.
 
​6G를 대비한 민관 협업 전략도 제시하는 게 유력하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사와 삼성전자, LG전자와 같은 제조사와 함께 6G 혁신 기술과 융합서비스 개발에 힘쓴다. 
 
​민관이 힙을 합쳐 양자암호 기반 네트워크 보안성 강화, 위성망 연동 기반 연결성 확대, AI 기반 장애 예측관리 등 제반 기술을 함께 준비할 계획이다. 
또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주행, 메타버스 등을 포함한 신규 서비스 개발도 고민한다.
 
​차세대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인재 양성 방안도 마련된다. 
 
국내기업이 6G 유무선 통신시스템, 융합서비스 기술력을 조기 확보할 수 있도록 6G 인력 양성 바우처 하우스 체계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 소프트웨어 인력을 수급하고, 6G에 최적화된 고급 인력 양성으로 연구개발을 지원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가 이같이 차세대 네트워크 전략을 준비한 것은 세계 주요국들이 경제와 안보 혁신을 위해 네트워크를 주도권 경쟁을 시작한 상황에서 기술 우위 선점이 중요하다는 판단을 내렸기 때문이다. 
 
​미국은 6G 표준 선점 의지를 밝히고, 넥스트 G얼라이언스를 출범했다. 
 
중국은 6G 백서를 내놓고 국가 주도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네트워크 경쟁력을 강화해 산업 전반의 혁신성을 강화하겠다”며 “차세대 네트워크 전략은 과기정통부가 도전하는 9000억원의 6G 예타 추진과도 발맞춰 진행된다”고 말했다.
 
한편 초성능·초대역 분야에서는 6G 통신기술의 후보 대역인 테라헤르츠(THz)1)에서 테라바이트(Tbps, Gbps의 1,000배 속도)급 전송속도를 확보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연구진은 테라헤르츠 주파수 대역을 활용한 무선통신, 광통신, RF(Radio Frequency, 무선주파수) 부품, 안전성 평가 기술을 개발하면서 이전보다 빠른 전송속도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만든다는 계획이다.
 
초공간 분야는 이동통신 기술과 위성통신 기술을 융합·활용하여 해상·오지·재난 상황 등 기존 기술로는 통신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기가바이트(Gbps)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3차원 공간 통신’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더불어 현재 지상 중심(고도 120m 이하) 이동통신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빠르게 달리는 자동차, 비행기, 드론 등에서도 원활한 통신이 가능한 기술을 연구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초지능·초정밀 전달 분야는 통신을 방해하는 간섭이 많은 환경에서도 원활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 무선 액세스 기술’, 사용자별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6G 코어 네트워크 기술’,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도 데이터 지연을 줄이는 ‘종단간 고정밀 네트워크 기술’을 다루며 네트워크 인프라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 계획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