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봉혁 칼럼니스트 (한국구매조달학회 이사)
ESG 경영의 ‘사회(S)’ 차원에서 장애인식개선을 통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정책 선언을 넘어 구체적 실행과 측정 가능한 목표 설정이 필수적이다. 최근 글로벌 기업과 국제기구, 학계가 제시하는 자료를 통해 장애인 포용정책이 어떻게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신뢰를 견인하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 ESG 경영과 장애인식개선의 필요성ESG 경영은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거버넌스(Governance)를 포괄하며, 사회적 차원에서 다양성과 포용성(Diversity & Inclusion)을 핵심 요소로 삼는다. 그러나 장애인 포용은 여전히 DEI(Diversity, Equity & Inclusion) 논의에서 소외되어 왔다. 한편 글로벌 시장에서는 기후 리스크뿐 아니라 ‘사회적 리스크’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기업들은 장기적 수익성과 브랜드 가치를 위해 지속가능성을 포기하지 않으며, DEI와 ESG는 상호보완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 법·제도적 변화: EU의 장애인식 통합유럽연합(EU)은 2025년부터 ‘유럽접근성법(EAA)’, ‘기업지속가능보고지침(CSRD)’,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의무 지침(CSDDD)’ 등을 통해 장애인 포용을 ESG 보고의 필수 항목으로 규정했다. 이는 기업 보고서에 장애인 고용·접근성·교육 프로그램 등 구체적 이행 내역을 공개하도록 의무화하는 조치로, 기업의 신뢰성과 경쟁력을 동시에 제고할 것으로 기대된다. • 경제적 효과: 장애인 포용과 재무성과의 상관관계장애인 포용이 가져오는 재무적 이익은 다양한 연구로 입증되었다. Accenture(2023)의 “The Disability Inclusion Imperative” 보고서는 장애인 포용 우수 기업이 매출 성장률, 영업이익률, 주주수익률에서 동종 업계 평균을 상회한다고 분석했다. 또한 포용적 조직은 직원 생산성과 혁신성이 높아져 장기적 가치 창출에 기여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Business disABILITY Awards 2025에서 ‘Outstanding Employer Award’를 받은 뉴랜드 그룹(Newlands Group)은 전체 인력의 3~4%를 장애인으로 고용하며, 주요 의사결정기구에 장애인 직원을 참여시키는 등 조직문화 전반에 걸친 포용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창업자 배리 오설리번은 “다양성이 회복탄력성과 문제해결능력을 강화한다”고 언급했으며, 24년 근속한 지적장애 직원 린지 깁슨의 사례는 기업 내 포용문화가 개인의 자립을 촉진함을 보여준다. • 혁신적 채용 전략: 해커톤 모델브라질 소프트웨어 기업 Zup Innovation은 장애인 개발자 대상 ‘Affirmative Hackathon’을 온라인으로 개최하여 50명의 참가자 중 10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146명을 인재풀에 등록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이 행사는 채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리적·커뮤니케이션 장벽을 해소했으며, 참여자 설문 결과 95%가 경험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향후 채용 모델로서의 가치를 확인했다. •“Global Disability Inclusion Report 2025”는 장애인 포용을 위해 법제도 정비, 국가·산업별 조정체계 구축, 데이터 수집·분석 강화, 재원 확보 등 전방위적 노력을 권고한다. 특히 민간 부문이 국제기구·시민사회와 협력하여 포용 프로그램을 설계·평가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것을 강조한다. • 실천 방안과 과제• 목표 설정 및 공개
• 결론ESG 경영의 ‘사회’ 차원에서 장애인식개선은 단순한 윤리적 선택을 넘어 기업 경쟁력과 사회적 신뢰를 동시에 높이는 핵심 전략이다. 법·제도적 지원, 재무적 이익, 혁신적 채용 모델, 국제기구 권고를 종합하여 기업은 구체적 실행과 측정 가능한 목표를 통해 장애인 포용을 지속가능경영의 표준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이를 통해 기업과 사회가 함께 성장하는 사회적 합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저작권자 ⓒ 장애인인식개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많이 본 기사
|